자궁근종은 어떻게 임신을 방해할까요? [대전자궁근종유앤그린한의원]

By 유&그린

WN9O5870

자궁근종은 가임력을 가진 여성의 20~50%에서 관찰되는 가장 보편적인 양성 종양입니다.
자궁근종과 난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기전을 설명하기 위한 수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지만
사실로서 확증된 내용은 여전히 부족합니다.
자궁근종의 크기, 위치. 수가 환자 저마다 다른 것만큼
이 이질적인 질환이 여성의 가임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또한 다양한 기전과 양상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난임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근종에 대한 치료를 고려하는 여성들이 기대할 수 있는 효과의 폭과 최선의 선택 또한
일정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

20160522_135438

제목 없음

올해 4월에 국제학술지인 에 발표된 본 연구는
자궁근종이 여성 난임에 미치는 영향과 각각의 치료로 기대할 수 있는 효용과 한계를 다루었습니다.
이에 근거하여, 앞으로 몇 차례 이어질 글을 통해 자궁 근종을 겪는 난임여성들의 다양하고
특수한 건강 여건에 따른 치료적 선택의 가치와 필요성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aasdfsd

자궁 근종은 크기와 위치, 수 등 다양한 병태적 조건에 따라 난임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칩니다. 자궁근종은 위치와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됩니다. 1) 장막하 근종 (subserosal fibroid) 자궁 장막, 즉 자궁 외막과 근육사이에 생기는 근종으로 자궁벽 바깥으로 튀어나와 보입니다. 2) 유경성 근종(pedunculated fibroid) 자궁 몸쪽에 근종이 길게 매달려 있거나, 자궁위쪽 밖에 매달려 노출된 근종 3) 근층내 근종(intramural fibroid) 자궁근육과 자궁벽사이에 생기며 자궁근종중 가장 흔한 경우 4) 점막하근종(Submucosal fibroid) : 자궁 내막 바로 아래 자리잡아 자궁강 내로 돌출되는 형태 이미지 출처: www.informedhealth.org

자궁 근종이 난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양한 가설들

이학적 요인
근종의 크기가 정자의 수송과 난자 또는 배아의 이동을 물리적으로 방해할 수 있다는
가설을 이해하는 것은 그렇게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생식세포의 미세한 크기, 자궁이 양측성으로 통로(난관)을 가진다는 점과
여성 생식계의 탄성을 고려할 때, 이러한 가설만으로 난임의 전반적 과정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합니다.

20160604_122147
자궁수축 패턴의 변화
자궁근육은 난포기 초기부터 수축빈도가 증가되어
자궁저부에서 경부로 연축하는 운동성을 보이다,
배란기 즈음부터 황체기 동안에는 운동 방향이 역행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자궁근종은 자궁근층의 수축력에 영향을 미치고,
만성 염증상태를 조장하여 착상을 방해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근층내 또는 점막하 근종을 겪는 여성은
황체기 중기동안 자궁근층 연동운동이 상대적으로 증가되는 반면,
배란기 전후에는 감퇴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Yoshino 등은 황체기 중반에 근층내 근종을 가진 여성들의 자궁근층 연동운동 증가를 MR 상 확인하였고,
근종절제술을 시행한 후 정상적인 연동운동을 회복함으로써 1년 간 40%의 임신율을 보였음을 보고하였습니다.
이들 연구진은 또다른 전향적 연구에서 난임 시술을 받는 여성 95명을 대상으로
자궁근종이 자궁연동운동을 변질시킴으로써 시술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습니다.
낮은 운동빈도를 보인 그룹의 34%의 여성이 임신을 이룬데 비해
수축빈도가 높았던 집단에서는 아무도 임신에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이처럼 근종이 자궁근수축에 미치는 기전에 대해서는 다양한 가설이 제시되고 있습니만,
근종 병소에서 비롯된사이토카인. 성장인자, 신경전달물질 및 옥시토신 조절인자 등이 관여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20160430_113315

사이토카인분비 양상 변질
초기 임신동안 특정 사이토카인 집단이 착상과 배아의 발달에 중대한 역할을 맡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 연구에서는 점막하근종을 겪는 여성들의 황체기 중반에 IL-10,
글리코델린 등이 뚜렷한 감소를 보고하였습니다.
(글리코델린은 프로게스테론에 의해 조절되는 당단백질로서 자궁내막의 분비샘을 통해
자궁강에 분비되어 혈관신생을 촉진하고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을 억제합니다)
자궁내막에 발현되는 착상마커로 잘 알려진 유전물질인 HOXA10, HOXA11, BTEB1의 발현은
자궁내막의 수용성을 조절하는 주요인자들입니다.
특히 HOXA10 의 감소 또는 부재는 배아의 착상을 어렵게 만들어
난임을 일으키는 주요기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affffffff

다른 연구에서는 점막하 근종을 겪는 난임 여성의 난포기에
착상에 관여하는 유전물질들의 현저한 감소를 보고하였습니다.

이러한 농도감소는 근종이 자리잡은 내막 뿐만 아니라 자궁강전반에서 확인되었고,
근층내근종의 경우 농도가 다소 적었지만 의미있는 수준의 변화를 나타내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근층내 근종을 겪는 여성들 또한 건강한 여성에 비해
현저한 황체기 HOXA10 감소를 보였다는 연구결과가 또다른 연구에서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자궁내막 HOXA 1 발현 저하에 따른 자궁내막의 탈락막화 변질은
형질전환 성장인자-베타3 (TGF-β3)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자궁근종절제를 통해 자궁내막의 HOXA1 발현 증가를 확인한 연구를 통해서도
본 질환이 착상에 부정적인 환경을 조장한다는 근거를 재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자궁내막근층연접부(EMJ)의 변형

근층 내부의 1/3에 해당하며, 자궁내막에 연접하는 부위인 자궁내막근층연접부는
착상의 창(황체기 중반) 시기에 자궁내막의 탈락막화과정에 관여하는 대식세포와
자궁자연살해세포의 작용이 활발히 일어나는 공간이기도 합니다.
Kitaya 등에 따르면 자궁근종을 겪는 여성들의 EMJ는 대식세포와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이
현저히 감소되어 착상에 불리한 환경을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한, 근층내, 점막하 근종 등의 공간점유병소가 EMJ를 기계적으로 변형시키고,
스테로이드 수용기의 작용을 변질시켜 착상을 방해할 것으로 보입니다.

1462795926779

이처럼 근종은 가시적이거나 비가시적인 경로, 물리적 또는 화학적 기전에 의해

난임을 조장하거나 직접적인 유해 원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어지는 글에서는 자궁근종이 임신의 달성과 유지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관한 근거와
여성의 생식건강에 기여하는 자궁근종 치료의 유효성과 한계에 대해 이야기를 이어나가겠습니다.

11

오늘보다 더 건강하고
아름다운 당신의내일을
이야기합니다.

Quick x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