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박유산(유산기)의 징조 자궁내 혈종 이야기[대전 유산기 조산기 유앤그린 여성한의원]

By 유&그린

임신 중 자궁내 혈종은 절박유산의 대표적인 임상상으로서,
출혈부위에 따라 융모막하혈종과 태반후혈종, 양막하혈종으로 나뉩니다.

앞서 소개해드린 전치태반과 함께 산전출혈의 대표질환인 태반조기박리에 따른 출혈은
주로 임신 2삼분기 이후에 나타나는 데 비해,
이들 질환은 대개 임신 초기에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유산기라고 불리는 주요 징후 중 하나입니다.

1439970673834

혈종의 발생기전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에 앞서, 간단히 태반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고 시작하겠습니다.

아시다시피, 태아가 원활한 발육 및 생명유지를 위해 필요한 호흡, 소화, 내분비,
배설을 관장하는 구조적 기반을 태반이라고 합니다. 태반을 구성하는 막은 크게 세 층으로,
양수로 아기를 감싸 채우고 있는 양막, 모체의 자궁내벽이 변화되어 이룬 탈락막, 그 사이에 위치한 융모막이 있습니다.
탈락막과 양막에 대한 개념은 곧바로 이해되시겠지만, 융모막은 이름도, 개념도 좀 애매하게 느껴지실거라 생각합니다.

1439863819098

오늘 설명드릴 질환의 주요 병소이니만큼 조금은 복잡하더라도 융모막에 대한 개념을 간단히 잡고 가는게 좋겠습니다.

이미지출처 : 위키백과

이미지출처 : 위키백과

모체와 태아가 제대를 통해 단단히 연결되어 있기에,
태반의 혈관이 모체에 바로 통하는 구조로 생각하시기 쉽지만 사실은 다릅니다.
태아의 혈액과 모체의 혈액은 직접 섞여서 물질 교환이 일어나는 대신,
분리된 혈관 사이에 놓인 막을 통해 노폐물과 산소의 교환이 일어납니다. 마치 폐에서 산소교환이 일어나는 과정처럼요.
태아의 혈관이 섬세하게 돌기를 이루어 물질의 교환과 흡수에 적합하게 발달한 조직을 융모라고 부릅니다.
즉, 아기를 직접 감싸고 있는 양막과 모체의 자궁내막이 변화되어 구성된 탈락막,
또는 양막과 태반 사이에 존재하며 각종 호르몬과 영양, 노폐물 교환이 활발히 일어나는 구조를 융모막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1391507451547

융모막하 혈종은 바로 그 융모막과 모체의 탈락막 사이에 피가 고인 상태를 의미하고,
태반후혈종은 태반 뒤에 혈종이 보이는 경우입니다.
양막하혈종은 양막 안에 혈종이 위치하는 상황이겠죠.
양막하혈종은 매우 드물기도 하고, 임신 3분기나 분만무렵에 나타나는 문제이므로 이 글에서는 언급을 줄이겠습니다.

그림 A. 태반후 혈종은 태반이 자리잡는 자리에서 혈종에 따른 융모막 분리가 일어나는 상황으로, 태반의 박리를 일으킬 위험이 비교적 높습니다. 그림 B. 융모막하 출혈은 융모막이 비교적 느슨하게 붙어있는 태반 언저리의 탈락막과 융모막 사이에 흔히 발생합니다. 그림 C. 양막하혈종은 양막을 구성하는 층과 층 사이 혹은 양막과 태반의 융모판 사이에 발생하며 제대혈관의 가지를 내는 태아 혈관들이 파열되어 나타납니다. 분만에 임박한 시기에 나타나는 드문 질환입니다.

그림 A. 태반후 혈종은 태반이 자리잡는 자리에서 혈종에 따른 융모막 분리가 일어나는 상황으로,
태반의 박리를 일으킬 위험이 비교적 높습니다.
그림 B. 융모막하 출혈은 융모막이 비교적 느슨하게 붙어있는
태반 언저리의 탈락막과 융모막 사이에 흔히 발생합니다.
그림 C. 양막하혈종은 양막을 구성하는 층과 층 사이 혹은 양막과 태반의 융모판 사이에 발생하며
제대혈관의 가지를 내는 태아 혈관들이 파열되어 나타납니다. 분만에 임박한 시기에 나타나는 드문 질환입니다.

융모막하혈종과 태반후혈종은 임신 제1삼분기에 4~22%로 보고될 정도로 드물지 않게 발생하는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구체적인 원인과 발병기전은 밝혀지지 않은상태입니다.
태반이 자궁내벽에 자리잡고 혈관망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우발적인 출혈이 모체의 자가면역적인 기전이나
내과적 요인과 맞물려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할 따름이지요.

현재까지 자궁내혈종의 발생위험을 높이는 위험요인 또한 아직까지 불분명합니다만,
산모의 혈전성향, 고령임신(비교적 경미)과 보조생식술을 통한 임신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발생율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1438912501823

주요 증상으로 복통과 질출혈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지만
초음파 검진 과정에서 주치의로부터 유산기가 있다는 표현을 듣고서야 병증을 알게되는 경우가 많지요.
피고임, 유산기, 절박유산 등 .. 듣기만 해도 두려운 용어들이지만
우리가 이야기하는 내용은 어디까지나 태아의 생존, 자궁경부가 닫힌 상태를 전제로 한다는 점,
대부분의 융모막하 혈종의 경과는 양호하다는 점을 유념하시고 아래 내용을 읽어나가시면 좋겠습니다.
실제로 절박유산의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인용 - 절박유산은 태아의 심음이 유지되고, 자궁경관이 잘 닫혀있는 상태를 전제로 질출혈을 주증상으로 복통이나 골반통이 동반되는 상황으로 요약됩니다>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인용 - 절박유산은 태아의 심음이 유지되고, 자궁경관이 잘 닫혀있는 상태를 전제로 질출혈을 주증상으로 복통이나 골반통이 동반되는 상황으로 요약됩니다>

자궁벽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박리된 혈관의 출혈이 자궁 내부에 머무르며 혈종을 형성하기도 하고,
일부는 하혈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 절박유산의 일반적인 양상입니다.
실제 절박유산이 있는 환자에서 융모막하 혈종의 빈도는 4-40%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구요.
절박유산에 동반되는 출혈과 혈종은 융모막분리로 태반의 직간접적인 손상 및 태반형성장애를 야기할 수 있는 기전 외에도,
탈락막의 만성염증을 유발하여 반복적인 조기 자궁수축을 유발함으로써 임신의 유지와 경과에 크고 작은 지장을 줍니다.

자궁내혈종이 향후 임신에 미치는 영향에는 다양한 변수들이 작용합니다만,
아직까지 이러한 변수들이 임신의 예후에 얼마나 강력한 관여를 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합니다.

혈종의 위치가 태반에 가까울 수록 태반조직의 손상 및 태반형성장애를 일으켜
임신의 예후를 어렵게 한다는 사실은 많은 근거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산모의 나이가 많을 수록, 자궁내 혈종을 진단받은 여성의 자연유산 위험이 2배가량 증가하고,
자궁내혈종이 임신 9주 이전에 발생할 경우 9주 이후 발생군에 비해 15배 이상 유산의 상대빈도가 증가한다는 연구도 있고,
오히려 임신 1삼분기 후반에서 2삼분기 사이에 혈종이 발생하는 경우에 태반손상에 따른 악영향이 크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IMG_0862

혈종의 크기가 임신의 유지와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산모들 스스로 보다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태반후 혈종의 경우 출혈이 60cc 이상 또는 임신낭의 4% 이상 시 유산의 가능성이 높다는 기준이 제시되고 있고,
태반을 30~40% 이상 침범할 정도로 혈종이 크면 임신낭을 압박하여 유산을 초래하는 기전이 제시되기도 하였지만,
혈종의 사이즈만으로 유산의 위험을 비례공식화 할 수는 없습니다.

실질적인 출혈의 부피는 관찰된 혈종 사이즈 외에도 하혈로 유실되거나
이미 자체 흡수된 출혈분까지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관찰되는 혈종이 클수록 태반의 형성 및 유지에 위협이 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혈종이 작다고 해서 안심할 수 없다는 의미라고 보시는 것이 적합하겠습니다.

0013052912494274

그렇다면 자궁내혈종이 임신과 모자건강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기존의 실험-대조군 연구를 메타분석하여 융모막하혈종을 진단받은 1735명의 여성에 대한 예후를 조사한 논문에 따르면,
혈종을 겪은 여성들은 습관성유산, 태반조기박리, 조기양막파수 등을 겪을 위험이
대조군 산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187명의 자궁내혈종을 겪은 여성의 임신 예후를 6488명의 대조군 산모와 비교한 논문에서도
이들 여성이 흡입분만, 제왕절개 분만 비율 증가, 임신성 당뇨, 유착태반 등의 발생 위험이 높다는 결과를 보고하였습니다.
특히, 태반조기박리를 겪을 위험이 5.6배 이상 높다는 결과에 대해서는 혈종이
임신 초기에 정상적인 태반형성을 방해하는 기전으로 해석하였습니다.

신생아의 건강 예후에 대해서도 자궁내혈종을 겪었던 경우에 출생체중이 적고,
아프가점수가 낮은 경우가 비교적 많았습니다.
이외에도 조산, 태아성장지연, 태아곤란증, 선천기형 등의 위험이 2배 이상 높았고,
신생아중환자실 처치를 받는 빈도가 5배 이상 높았다고 합니다.

1439941785884

융모막 혈종이 있을 때 무엇을 어떻게 하면 좋은가요?

산부인과에서는 자궁경부가 온전히 닫혀있고 태아의 심음이 정상적이라면 노심초사하시지 말고,
정기검진을 지키고 안정하실 것을 권합니다.
비교적 작은 혈종은 충분한 심신 안정을 거치며 1~2주 이내에 상당부분 해소되기때문입니다.
물론 논문들에서는 대부분의 혈종이 완전히 소실되는 시기를 임신 24~25주까지 보긴 합니다.

하지만 혈종의 크기가 크고, 태반에 가까울 수록, 혈종의 해소가 더딜수록
임신과 분만의 예후가 나쁘므로 보다 적극적인 경과관찰과 치료가 요구됩니다.

임신 초기 자궁내출혈은 위에서도 잠시 언급드렸듯 태반형성과정에서 면역조절기능의 실패로 인해
모체-태아간 면역충돌이 일어나고 응혈과정이 원활하게 작동하지 못하는 기전이 가장 보편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주치의의 판단에따라 태반혈관형성을 방해하는 면역과정을 차단하고 혈관재생을 촉진하는
프로게스테론을 투여하는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WN9O5853

융모막혈종을 위한 한의학적 치료는 어떤 것이 있나요?

번거롭지만 링크를 걸어드린 글들을 읽어보시기를 권하겠습니다.^ ^


임신초기 출혈을 동반한 유산기,고운맘카드로 한의원에서 도움을


유앤그린여성한의원
블로그 바로가기

질출혈을 동반하는 절박유산을 치료하는 한약의 치료기전...


유앤그린여성한의원
블로그 바로가기

유산을 예방하고 잡아주는 안태한약 이야기...


유앤그린여성한의원
블로그 바로가기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한 자궁과 건강한 몸상태에서 임신을 이루는 것이겠지만,
유산기의 징조인 융모막혈종의 문제를 한약의 복용으로 도움을 받으실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많은 연구를 통해서도 입증되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특히 고운맘카드로 전국의 대다수의 한의원과 한방의료기관에서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안받으실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주세요.

자궁내혈종을 한의학으로 무조건 해결한다고 장담드릴 수는 없으나
절박유산에서 양방 단독 치료시보다 한약병행 복용시 두배이상 건강한 임신유지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유앤그린 여성한의원이 모든 임산부의 순조로운 임신과 출산을 응원하겠습니다.

----------------------------------------

<참고문헌>

1. Trop. et al. Pictorial Essay - Hemorrhage During Pregnancy: Sonography and MR Imaging. American journal of Radiology.176.March 2001 : 607-615
2. 김석영. 절박유산의 임상적의의. 대한산부인과학회 교육강연 , 2008 권 , 단일호 ,101-108
3. Loi K. Massive pre-placental and subchorionic haematome. Singapore Med. J 2006:47(2) :1084
4. MG Tuuli et al. Perinatal outcomes in women with subchorionic hemato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bstet Gynecol. 2011 May;117(5):1205-12.
5. Xiang L. et al. Symptoms of an intrauterine hematoma associated with pregnancy complications: a systematic review. PLoS One. 2014 Nov 4;9(11):
6. Nagy et al. Clinical significance of subchorionic and retroplacental hematomas detected in the first trimester of pregnancy. Orv Hetil. 2005 Oct 16;146(42):2157-61

오늘보다 더 건강하고
아름다운 당신의내일을
이야기합니다.

Quick x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