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 기타질환
임신 중 일어나는 여러 신체 변화는
다양한 질환을 야기시키기도 합니다.
엄마와 아기 모두에게 안전하고
건강한 임신이 될 수 있도록 면밀히
살펴보아야 합니다.
1. 임신 빈혈
임신빈혈의 대다수는 임신 중 혈액량 증가에 따른 철분 결핍성 빈혈인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나라 임산부의 5명 중 1명은
철분결핍성 빈혈을 진단받습니다.

임신 중에는 철분 일일 권장량이 급증하는데 적혈구 생성에 필요한 최소량을 유지하지 못하는 과정에서 빈혈이 나타납니다.
임신 전부터 빈혈이 있었거나, 쌍둥이를 임신하였거나, 터울이 짧은 임신을 한 여성이 철분결핍성 빈혈을 겪을 확률이 높으므
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임신빈혈의 증상

빈혈을 대표하는 증상으로 흔히 어지러움을 떠올리시지만 오히려 피로감,
두통, 이명 등의 증상들이 빈혈로 인한 경우가 많으며, 혈색을 반영하는
손톱, 안색, 눈꺼풀 등을 유심히 살피는 것도 건강 파악에 도움이 됩니다.

임신 과정에서 모체의 철분은 태아에 우선적으로 공급되므로, 철분부족이
아기에게 심각한 위험을 끼칠 가능성은 낮지만, 태아의 발육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임산부의 몸과 마음이 편안해야 태아도 건강하게
발육할 수 있다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만으로도 적극적인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임신 중 빈혈 치료
한의학에서 ‘혈’은 서양의학에서 말하는 적혈구, 백혈구의 개념보다 훨씬 포괄적인 개념으로 신체 각 기관의 영양공급과
면역력 유지를 비롯하여 각종 생명현상이 일어나는 에너지의 물질적 기반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한의학적 치료는 단순히 철
결핍이나 엽산 결핍 상태 뿐 아니라 혈의 원활한 생성과 흐름 및 분포를 개선하는데 중점을 둡니다.

임신 기간 중 빈혈은 모체는 물론 태아의 건강을 위해서도 적극적으로 관리해야하는 병증입니다.
한의학적 치료는 단순히 철 결핍이나 엽산 결핍 상태 뿐 아니라 혈의 원활한 생성과 흐름 및 분포를 개선하는데 중점을 둡니다. 한의학에서 ‘혈’은 서양의학에서 말하는 적혈구, 백혈구의 개념보다 훨씬 포괄적인 개념으로 신체 각 기관의 영양공급과 면역력 유지를 비롯하여 각종 생명현상이 일어나는 에너지의 물질적 기반을 의미하며 다양한 건강상태를 반영한 치료에 초점을 둡니다.
오늘부터 실천하세요!
'임신 빈혈’에 좋은 생활습관을
체크하세요.
- 미역이나 다시마, 검정깨, 간, 메기, 굴, 시금치 등에 철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데 인체흡수율이 낮은 특성상
철분 흡수를 돕는 영양소를 같이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철분의 흡수를 도와주는 것은 단백질, 구리, 엽산, 엽록소, 비타민 B12, 비타민 C 등으로 쇠고기나 우유,
녹황색채소 등에 많이 포함되어 있답니다. - 차와 커피에 들어 있는 탄닌이 철과 결합, 체내 흡수를 방해하므로 가급적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임신 중 변비
임산부 3명 중 1명은 임신 중 변비로 고생합니다. 임신 중 변비는 임신 후 호르몬 변화로 인해 위장 활동을 약화되고,
위산분비가 적어져 흔히 복부창만이나 변비가 발생하게 되며, 임신 빈혈을 위해 복용하는 철분 보충제 역시 변비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변비가 심해지고 장기화되면 치질을 유발할 수 있고. 산후에도 변비가 지속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관리와
개선노력이 필요합니다.

임신 중 변비 치료

한의학적으로 임신 기간의 배변 문제는 단순히 소화기계의 문제로 접근하
기보다는 음혈허, 대장조열, 기허 등 전신 건강의 관점에서 치료합니다.
즉, 태아를 기르는 임신과정에서 소모되는 부족한 혈과 진액을 보충하고,
대장의 열을 풀어 주며, 기운을 돋우어 잔변감을 해소하고 개운한 배변이
가능도록 합니다.
오늘부터 실천하세요!
‘임신 중 변비 해결’을 위한 생활습관을
체크하세요.
- 섬유질이 풍부한 채소와 잡곡밥, 과일이 포함된 식단을 구성하세요.
- 단, 갑자기 많은 양의 섬유질을 섭취하실 경우 배에 가스가 차는 느낌이 들 수 있으니 서서히 양을 늘려가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 충분한 수분 섭취와 운동도 건강한 장의 움직임을 돕습니다.
- 변을 보고 싶은 느낌이 들면 참지 말고 바로 화장실에 가세요.
- 주위의 시선을 의식하거나, 배변시간을 인위적으로 맞추기 위해 참는 것은 절대 피하셔야 합니다.
- 식단과 생활습관 개선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변비로 힘드시다면 한의학적 치료로 도움을 받아보세요.
3. 임신 중 빈뇨와 방광염

생리적 빈뇨는 임신 중 호르몬의 변화와 임신 주수가 지나며 커진 자궁이
방광을 압박하여 발생하는 정상적인 변화로 임신 초기와 후기에 뚜렷한
편입니다. 단순히 화장실을 자주 가는 문제만으로는 치료의 대상이 되지 않
지만 임신 중 호르몬 변화와 자궁의 압박은 소변의 잔류시간을 늘리고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환경을 조성하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요도에 작열감이나 통증이 있으며 소변이 짧고 붉으면 요로감염이나 방광
염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심하면 오한이 있거나 고열(39~40℃)이 나며
한쪽 또는 양쪽 요추부에 동통이 발생하는데 이때는 신우신염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또한 고열로 인하여 유산이나 조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임신 중 빈뇨와 방광염의 한의학적 치료
예방과 관리가 최선의 방법
임신시 발생할 수 있는 비뇨기계감염은 예방과 관리가 최선의 방법입니다.
특히 임신 전 방광염이 발병했던 기왕력이 있는 경우, 임신 기간 중에도 방광염이 재발할 위험 역시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어, 이에 대한 각별한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한의학적으로 빈뇨와 방광염의 치료
염증으로 인한 불편한 증상을 줄이고 기혈 순환과 면역력을 도와 배뇨 질환에 대한 치료 및 예방적 접근법을 제시하며,
배뇨질환의 극복 뿐만 아니라 산모의 건강과 임신의 유지에도 도움이 됩니다.
오늘부터 실천하세요!
‘요로감염을 줄이는’ 생활습관을
체크하세요.
- 물은 항상 충분히 마시고 소변을 참지 마세요. 한번 보실 때 방광을 비워낸다는 느낌으로 충분히 배뇨하셔야
합니다. - 매운 열성 음식은 먹지 말고 담백한 음식을 먹어야 합니다.
- 음부 세정 시 살균력이 강한 비누나 청결제를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몸에 도움이 되는 세균까지 없애 질의 자정능력을 떨어뜨릴 수 있고, 결과적으로 요로감염의 기회가 늘어날 수 있습니다.
- 용변 후에는 항상 앞에서 뒤쪽 방향으로 닦아주세요.
- 적절한 체중 조절이 필요합니다. 비만 또는 저체중으로 건강한 임신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절제된 성 생활을 하며, 부부관계 후에는 바로 소변을 보세요.
- 너무 자주 오랫동안 욕조에 몸을 담그지 마세요. 또한, 면으로 된 속옷을 입으시고 딱 붙는 옷은 입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