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상 후 자궁 내 혈관 변화[대전 난임 유앤그린여성한의원]
# 4. 착상 후 자궁 내 혈관 변화
자궁-태반 순환은 산모와 태아의 순환을 연결하여
적절한 영양물질과 가스의 교환을 가능하게 해주며 태아 성장을 가능케 해줍니다.
하지만 이 순환 시스템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여기서는 자궁-태반 순환이 어떤 식으로 형성되는지,
임신 기간 동안 어떻게 동적으로 변화하는지,
이것이 임신 성공에는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지금까지 알려진 바들을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임신 기간 중 자궁 순환의 적절한 적응과 리모델링은
특히 태아 성장이 가장 큰 임신 후반기 동안
자궁으로의 혈액 공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데 중요하다고 생각되어집니다.
그러나 다양한 크기의 혈관을 포함하는 이 역동적인 과정은 윤리적인 문제로
인간 임신을 대상으로는 연구하기가 어렵습니다.
인간의 자궁-태반 순환계는 영장류 이외의 동물 대부분과 차이가 있다는 점 또한
이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죠.
- 임신 기간 중 자궁 혈관계의 적응
위 슬라이드의 그림은 비임신 상태와 임신 상태일 때의 자궁 혈관의 변화를 표현한 것입니다.
바깥에서 안쪽 방향 순으로, 자궁근층과 기저 자궁내막,
기능성 자궁내막에서의 자궁동맥(uterine artery),
궁상동맥(arcuate artery), 요골동맥(radial artery),
나선형 동맥(spinal artery) 변화에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임신 기간 동안 태아의 발달을 돕기 위해 자궁 순환계에서는 두 가지 주요한 적응이 발생합니다. :
1) 나선형 동맥(spiral arteries)은 단단하고 구불구불하게 말려있고
느린 생리학적 시그널에 활성화되는 혈관에서, 산모의 Tonic signal에 반응하지 않는
넓고 깊게 뚫린 관의 형태로 리모델링 됩니다.
2) 더 큰 혈관들(자궁동맥, 궁상동맥(arcuate artery), 요골동맥(radial artery))은
자궁으로 공급되는 혈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확장됩니다.
# 5. 나선동맥의 리모델링
나선형 동맥의 리모델링
단단하게 꼬여있던 나선형 동맥이
융모사이 공간으로 또 모체의 혈관수축과 독립적인 상태로 넓고 깊은 관의 형태로 전환되는 것은
자궁순환이 융모막하 공간으로 직접 연결되고 태아의 영양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모체의 혈액이 균등하게 관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부분입니다.
정상 임신에서 나선형 동맥이 리모델링 되는 영역은,
탈락막 전 영역과 자궁근층 1/3 정도까지의 침투로 확장됩니다.
참고로 자궁근층 내 동맥 분절의 심부 리모델링도
종종 나선형 동맥의 리모델링으로 표현되곤 하는데,
엄밀하게 말하면 나선형 동맥은 자궁내막에만 국한되며
자궁근층에서 세포영양막에 의해 리모델링 되는 것은 요골동맥이라 표현하는 것이 맞습니다.
임신 초기에 이런 리모델링의 정도는 임신-출산의 성공에 있어 핵심적 요소이며
이러한 나선형 동맥의 리모델링이 깊이나 수에서 불충분할 경우
태아성장제한, 전자간증 등과 같은 임신합병증과 연관이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나선형 동맥의 리모델링은 아래 3가지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1) 착상 바로 직전의 호르몬 작용
2) 탈락막 면역세포 매개 기전
3) 융모막외 세포영양막이라는 특화된 태반상피세포가 태반 융모를 고정하는 팁에서 탈락,
탈락막으로 침투
▲ 그림. 제2삼분기 태반에서 모체와 산모의 혈관구조
위는 임신 초 나선형 동맥의 리모델링이 잘 이루어진 경우(좌측)와
그렇지 못한 허혈성 상태(우측)에,
제2삼분기에 이르러 태반(A), 융모사이공간(B),
융모(C, D)가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를 보여주는 모식도입니다.
가운데 B 그림에서 좌하단은 나선형 동맥의 리모델링이
잘 이루어져 낮은 저항의 관류를 보이는 반면,
우측의 나선형 동맥은 좁고 혈류 속도가 증가되어 있습니다.
좌측 C는 정상적으로 잘 발달된 융모의 단면으로,
두 겹의 융모성 세포영양막(영양막세포층(cytotrophoblast-어두운 핑크색)과
합포체영양막(syncytiotrophoblast-밝은 핑크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융모의 내부에는 융모내피(노란색)로 둘러싸인 태아 혈관이 있습니다.
태아 혈관에는 몇몇 적혈구들이 존재하며,
융모 내 다양한 호프바우어 세포(Hofbauer cells-녹색)도 묘사되어 있습니다.
우측 D는 허혈성 상태의 융모로, 융모 표면에는 융모성 세포영양막이 불연속하게 존재하며,
fibrin이 퇴적되고, 융합영양막결절(syncytial knotting)은 증가되어 있습니다.
가운데 그림 B의 우측은 푸른색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나선형 동맥으로부터 혈액 관류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융모사이공간이 허혈성 상태를 띰을 묘사한 것이며,
이러한 허혈 상태에 노출된 융모 조직은 산화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앞서 설명한 그림 C,D와 같이 형태학적 변화를 띠게 됩니다.
한번 잘 보시고 넘어가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