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낭성난소증후군과 관련해 자주 듣는 질문들[대전 유앤그린여성한의원]
# 1. 다낭성난소증후군 Opening
다낭성난소증후군은 다들 아시는 것처럼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를 이루는 내분비축(H-P-O axis)이
얼마나 정상적인 역할을 하느냐와 관련된 질환입니다.
내분비축이 정상적으로 기능한다면 배란 역시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또 월경 역시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문제될 것이 없겠죠.
그런데 어떠한 기능적 교란이 생기면서 배란이나 생리와 관련된 문제들이 생겨납니다.
물론 인체 생리는 맞물려 있기 때문에 역으로 배란이나 생리의 문제가
내분비 기능의 이상을 유발하기도 하죠.
그렇기 때문에 다낭성난소증후군은 무배란이나 희발월경 형태로 진행되기도 하고,
임신과 관련해서는 난임을 유발하기도 하며,
다모증이나 여드름과 같은 고안드로겐혈증으로 인한 임상 양상들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를 이루는 내분비축(H-P-O axis)이
얼마나 정상적인 역할을 하느냐와 관련된 질환입니다.
내분비축이 정상적으로 기능한다면 배란 역시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또 월경 역시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문제될 것이 없겠죠.
그런데 어떠한 기능적 교란이 생기면서 배란이나 생리와 관련된 문제들이 생겨납니다.
물론 인체 생리는 맞물려 있기 때문에 역으로 배란이나 생리의 문제가
내분비 기능의 이상을 유발하기도 하죠.
그렇기 때문에 다낭성난소증후군은 무배란이나 희발월경 형태로 진행되기도 하고,
임신과 관련해서는 난임을 유발하기도 하며,
다모증이나 여드름과 같은 고안드로겐혈증으로 인한 임상 양상들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 2. 다낭성난소증후군과 관련하여 자주 듣게 되는 임상질문들
다른 한의사분들은 다낭성난소증후군과 관련하여 어떠한 점들을 궁금해 하시나 궁금하기도 하여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라오는 질문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대략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더군요.
중간 중간 관련 내용을 설명하게 될 것이며,
이에 대해서는 뒤에 다시 한 번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1. PCOS 환자가 한약 복용 중 소량 질 출혈이 발생했다면 이 결과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요?
2. PCOS는 습담형(濕痰型)이 많다는데 습담(濕痰)은 어떻게 진단하나요?
3. PCOS는 얼마나 치료해야 하나요? 예후가 어떻게 되나요?
4. PCOS 환자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5. 마른 PCOS 환자의 경우에도 濕을 제거해줘야 하나요?
6. 다낭성 난소가 보이는 환자가 무월경, 희발월경이 아니라
3개월 간 지속적으로 질 출혈이 보인다고 하는데 왜 그렇죠?
7. 무월경 PCOS 환자에게 배란유도제 복용을 권해야 할까요?
한․양방 병행 치료 시 어떤 원칙이 있을까요?
# 3. 다낭성난소증후군의 정의와 역할
원인적으로 보면 그 고인슐린혈증에 의한 안드로겐 과생성을
다낭성난소증후군의 핵심 병인으로 보기도 합니다.
인슐린은 기본적으로 포도당이 세포 내로 흡수되게끔 하여
에너지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이지만,
인슐린이 늘어남으로써 기타 여러 가지 변화가 생겨날 수 있습니다.
그 중에는 안드로겐과 관련된 것도 있습니다.
SHBG(Sex-Hormone Binding Globulin)2라고 해서 성호르몬과 결합하는 글로불린의 농도는
고인슐린혈증 시 저하됩니다.
SHBG는 에스트로겐이나 안드로겐과 결합해서 성호르몬의 혈중 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SHBG의 수치가 떨어지게 되면 안드로겐을 포함한 혈중 테스토스테론 농도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죠.
그로 인해서 고안드로겐혈증이나 고에스트로겐혈증이 나타나게 되면서
여드름이나 다모증을 유발하기도 하고 자궁의 비정상적인 발육을 야기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고인슐린혈증의 발생에 유전적인 요소가 관여한다는 설도 제기되고 있기도 합니다.
다낭성난소증후군의 핵심 병인으로 보기도 합니다.
인슐린은 기본적으로 포도당이 세포 내로 흡수되게끔 하여
에너지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이지만,
인슐린이 늘어남으로써 기타 여러 가지 변화가 생겨날 수 있습니다.
그 중에는 안드로겐과 관련된 것도 있습니다.
SHBG(Sex-Hormone Binding Globulin)2라고 해서 성호르몬과 결합하는 글로불린의 농도는
고인슐린혈증 시 저하됩니다.
SHBG는 에스트로겐이나 안드로겐과 결합해서 성호르몬의 혈중 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SHBG의 수치가 떨어지게 되면 안드로겐을 포함한 혈중 테스토스테론 농도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죠.
그로 인해서 고안드로겐혈증이나 고에스트로겐혈증이 나타나게 되면서
여드름이나 다모증을 유발하기도 하고 자궁의 비정상적인 발육을 야기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고인슐린혈증의 발생에 유전적인 요소가 관여한다는 설도 제기되고 있기도 합니다.
책마다 다르지만 통상 가임기 여성의 5~10%에서 다낭성난소증후군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무배란 여성에 국한에서 보자면 굉장히 높은 퍼센티지가
다낭성난소증후군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있죠.
무배란을 주소(主訴)로 찾아온 여성이라면 한번쯤은
다낭성난소증후군의 가능성을 생각해보아야 하겠습니다.2) SHBG(Sex-Hormone Binding Globulin) SHBG는 간(肝)에서 생성되는 당단백으로 Testosterone, 5α-Dihydrotestosterone(DHT), Estradiol과 결합한다. Testosterone과 5α-Dihydrotestosterone(DHT)과는 높은 친화력이 있고, Estradiol과는 다소 낮은 친화력이 있다. 여성에게서 Estrogen이 Androgen에 비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여성이 남성보다 SHBG의 양이 많으며, 같은 이유로 임신말기나 Estrogen 투여 후엔 급격히 증가한다. 그리고 Androgen의 투여는 SHBG를 감소시킨다. 특히 다낭성 난소 증후군에서 SHBG의 농도 변화는 체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 Testosterone의 양에 영향을 끼친다. Testosterone의 약 40~60%가 SHBG와 결합하여 대사적으로 비활성화된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Testosterone은 이론적으로 SHBG와 결합하나, Albumin, Cortisol-Binding Globulin과도 결합하는데, 나머지 대부분의 Testosterone은 Albumin과 약하고 가역적으로 껼합하여 있다. 혈중 유리 Testosterone은 오직 2%에 불과하다. Free Androgen index (FAI ; SHBG에 대한 Total Testosterone의 비율)는 Hirsutism (다모증)과 같은 비정상적인 Androgen 상태의 유용한 지표이다. Hirsutism (다모증), Acne Vulgaris (보통 여드름, 심상성 좌창), Polycystic Ovary Syndrom (다낭성 난소 증후군)에서 종종 SHBG치가 감소한다. 예를 들면, Wilke와 Utley의 연구에 의하면 22명의 다모증 환자의 31%에서 SHBG의 농도가 감소하였으며, Cunningham과 Mckenna의 연구에선 92명의 여자 다모증 환자의 32%에서 SHBG치가 감소하였다. SHBG치는 Hypothyroidism(갑상선기능저하증), Acromegaly(선단거대증), Cushing's disease, Hyperprolactinemia(고프로락틱혈증)에서 완만히 감소한다. 또한, 비만과 Androgen(특히 Testosterone), Danazol과 같은 약물 투여 시 SHBG의 결합부위에 Androgen과 경쟁을 하기 때문에 SHBG치는 감소한다. Glucocorticoids와 Growth Hormone도 같은 이유로 SHBG치를 감소시킨다. 반면 SHBG치의 증가는 Hyperthyroidism(갑상선기능항진증), 간경변에서 나타난다. 임신의 경우에도 SHBG치가 증가한다. 또한, Estrogen의 투여 및 Phenytoin과 같이 간 효소를 유도하는 약물의 투여에서도 증가한다. 고안드로겐성 다모증 여성에게서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Dexamethasone은 SHBG의 농도를 특이적으로 증가시킨다.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무배란 여성에 국한에서 보자면 굉장히 높은 퍼센티지가
다낭성난소증후군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있죠.
무배란을 주소(主訴)로 찾아온 여성이라면 한번쯤은
다낭성난소증후군의 가능성을 생각해보아야 하겠습니다.2) SHBG(Sex-Hormone Binding Globulin) SHBG는 간(肝)에서 생성되는 당단백으로 Testosterone, 5α-Dihydrotestosterone(DHT), Estradiol과 결합한다. Testosterone과 5α-Dihydrotestosterone(DHT)과는 높은 친화력이 있고, Estradiol과는 다소 낮은 친화력이 있다. 여성에게서 Estrogen이 Androgen에 비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여성이 남성보다 SHBG의 양이 많으며, 같은 이유로 임신말기나 Estrogen 투여 후엔 급격히 증가한다. 그리고 Androgen의 투여는 SHBG를 감소시킨다. 특히 다낭성 난소 증후군에서 SHBG의 농도 변화는 체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 Testosterone의 양에 영향을 끼친다. Testosterone의 약 40~60%가 SHBG와 결합하여 대사적으로 비활성화된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Testosterone은 이론적으로 SHBG와 결합하나, Albumin, Cortisol-Binding Globulin과도 결합하는데, 나머지 대부분의 Testosterone은 Albumin과 약하고 가역적으로 껼합하여 있다. 혈중 유리 Testosterone은 오직 2%에 불과하다. Free Androgen index (FAI ; SHBG에 대한 Total Testosterone의 비율)는 Hirsutism (다모증)과 같은 비정상적인 Androgen 상태의 유용한 지표이다. Hirsutism (다모증), Acne Vulgaris (보통 여드름, 심상성 좌창), Polycystic Ovary Syndrom (다낭성 난소 증후군)에서 종종 SHBG치가 감소한다. 예를 들면, Wilke와 Utley의 연구에 의하면 22명의 다모증 환자의 31%에서 SHBG의 농도가 감소하였으며, Cunningham과 Mckenna의 연구에선 92명의 여자 다모증 환자의 32%에서 SHBG치가 감소하였다. SHBG치는 Hypothyroidism(갑상선기능저하증), Acromegaly(선단거대증), Cushing's disease, Hyperprolactinemia(고프로락틱혈증)에서 완만히 감소한다. 또한, 비만과 Androgen(특히 Testosterone), Danazol과 같은 약물 투여 시 SHBG의 결합부위에 Androgen과 경쟁을 하기 때문에 SHBG치는 감소한다. Glucocorticoids와 Growth Hormone도 같은 이유로 SHBG치를 감소시킨다. 반면 SHBG치의 증가는 Hyperthyroidism(갑상선기능항진증), 간경변에서 나타난다. 임신의 경우에도 SHBG치가 증가한다. 또한, Estrogen의 투여 및 Phenytoin과 같이 간 효소를 유도하는 약물의 투여에서도 증가한다. 고안드로겐성 다모증 여성에게서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Dexamethasone은 SHBG의 농도를 특이적으로 증가시킨다.
# 4. 다낭성난소증후군의 병리와 병인, 병기
방금 언급했던 고안드로겐혈증과 관련된 기전,
또 GnRH 박동성이 증가되고 LH의 분비가 증가되는 기전으로 인해 무배란이 생겨나게 됩니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 다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인슐린 저항성 기전에 대해서 앞서 가볍게 언급했었는데, 역시 뒤에서 다시 자세히 논의할 것입니다.
또 GnRH 박동성이 증가되고 LH의 분비가 증가되는 기전으로 인해 무배란이 생겨나게 됩니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 다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인슐린 저항성 기전에 대해서 앞서 가볍게 언급했었는데, 역시 뒤에서 다시 자세히 논의할 것입니다.
한의학적인 병인(病因)으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은 역시나 습담(濕痰)과 관련된 부분이고,
그 다음으로는 스트레스로 해석되는 간울(肝鬱), 또 기체혈어(氣滯血瘀) 등인데
이러한 것들은 교과서에서 실증(實證)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또 허증(虛證)과 관련된 병인으로는 기혈허약(氣血虛弱)과 신허(腎虛),
비신양허(脾腎兩虛)를 들 수 있습니다.
이런 한의학적인 부분들은 쉽게 이해하실 수 있으실 거니까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스트레스로 해석되는 간울(肝鬱), 또 기체혈어(氣滯血瘀) 등인데
이러한 것들은 교과서에서 실증(實證)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또 허증(虛證)과 관련된 병인으로는 기혈허약(氣血虛弱)과 신허(腎虛),
비신양허(脾腎兩虛)를 들 수 있습니다.
이런 한의학적인 부분들은 쉽게 이해하실 수 있으실 거니까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