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포의 성장과 배란에 관여하는 매개인자[대전유앤그린여성한의원]
# 15. 난소의 구조와 난포의 성장
난소예비력이나 AMH에 대해서 이해하기 위해서는
난소의 구조와 난포의 성장에 대해서 조금 더 세밀하게 이해해야 합니다.
성인의 난소는 크게 피질, 수질, 그리고 문(hilum) 부분의 세 구역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피질은 다시 표피(surface epithelium, se),
백막(tunica albuginea, ta), 난포(ovarian follicles),
(primordial, primary (pf), secondary (sf),
small, medium, large Graafian follicle (gf)),
그리고 황체(corpora lutea (cl))로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수질은 커다란 혈관과 신경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문부(hilum)는 커다란 나선 동맥과 문(hilum), 그리고 난소 Leydig 세포를 함유합니다.
난포가 슬라이드 우측 그림에서와 같이 조금씩 성장해서
20㎜ 이상 커지면서 배란이 될 수 있습니다.
원시난포에서 1차 난포, 전동난포, 동난포 단계를 거치게 되고,
성숙 난포에서 배란이 될 수 있는 상황이 되면 난포가 터지면서 배출됩니다.
1주차 강의 때 언급했던 것처럼 AMH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난포부터 발달 초기의 난포까지에서 분비하는데,
4-6㎜ 크기의 난포에서 가장 많이 분비됩니다.
일반적으로 8㎜ 크기를 넘어서는 큰 난포들은 AMH를 분비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원시난포의 중앙에는 직경 25㎛ 크기의
1차 난모세포(primary oocyte)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난모세포의 주위에 이를 둘러싸는 8-10개로 구성된
한 층의 과립막 세포(granulosa cell)가 위치합니다.
그리고 과립막 세포층의 바깥에는 기저막(basement membrane)이 있습니다.
이 1차 난모세포가 주변 세포들에서 분비하는 호르몬들에 반응하여 점차 성장하는 것이죠.
# 16. 배란의 신호경로와 매개인자들
난해한 내용이지만 논문의 내용을 읽어보며
배란에 관여하는 매개인자들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난포들의 모양을 보면 난포를 싸고 있는 난포막 세포들이 있고 그 안에 기저판,
더 안에 과립막 세포들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난포막은 포상난포(theca folliculi)를 둘러싸고 있는 조밀한 결합조직이다.
난포의 성장에 따라서 형성되는데, 내층(내란포막(内卵胞膜), Theca interna)과
외층(외란포막(外卵胞膜), Theca externa)으로 나뉘어집니다.
내층은 난소지질세포 유래의 세포성분과 모세혈관이 풍부하며 평활근과 같은 세포도
포함하고 있으나, 외층은 교원섬유가 풍부하며 세포성분으로서는
섬유세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내층은 내분비학적으로 중요한데, 하수체 전엽의 FSH 작용에 의해서 난포가 성장함에 따라서
내층의 세포는 FSH와 소량의 LH에 반응해서 에스트로겐을 분비합니다.
배란 시에는 LH에 의해 활성화된 코라게나아제가 난포막이나 그 주위의 섬유성분을
분해함에 따라 난포내압에 의한 장력에 저항하지 못하고 파열하게 됩니다.
배란 후, 내층의 세포는 대형화하고, 세포질에 다량의 루틴색소를 축적해 놓아서
난포막 루틴세포가 되어 황체형성에 참가하고 황체호르몬(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게 됩니다.
난포의 FSH surge 및 LH surge는 다양한 난포 부분에 있는 세포들로 하여금
신호를 변환하게 만들어 결국 배란이 유도하게끔 합니다.
LH 신호는 난포막과 점액에 있는 과립막 세포들에 의해 변환되는 반면,
FSH 신호는 점액의 과립막 세포와 난구 세포(cumulus cell)에 의해 변환됩니다.
과립막 세포 또는 과립막층 내에 있는 백혈구는 난구 세포의 팽창을 자극하는
사이토카인인 IL-1을 분비하고, 난모세포의 cAMP 값의
감소를 유도하는 단백인 InsL3를 분비합니다.
점액의 과립막 세포들은 난구 세포들에 반응하여
배란을 유도하는 성장인자인, EGF 유사 리간드를 분비합니다.
게다가 그것들은 향후 난구 세포 기질의 구성성분이 되는
versican과 AdamTS-1을 분비합니다.
혈류로부터 온 inter-trypsin 억제효소 역시 난구 세포 기질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위치를 바꿉니다.
난구세포들에 의해 만들어진 PGE2 오토크린 방식으로 작동하여 cAMP 생산을 촉진하는데
이것은 배란 신호의 cascade 반응을 가속화시킵니다.
GDF-9, BMP-15, BMP-6을 포함한 난모세포 몰포겐(morphogen)들은
난포 안팎 모두에서 만들어진 다른 다양한 신호전달 단백들과 함께
배란 신호에 반응하여 난구세포, 점액 과림박 세포, 난포막 세포를 조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