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내막종의 크기와 AMH 수치의 변화.[대전유앤그린 여성한의원]
그린여성한의학-자궁난소질환
자궁내막종의 크기와 AMH 수치
자궁내막종이란 자궁 내에 존재해야 할 자궁 내막 조직이 자연사 하지 않고
자궁 밖인 난소에 부착하여 비정상적인 증식과 매달 생리시 출혈을 보이는 질환입니다.
현재까지 자궁내막종은 그 원인과 발생 기전에 대해 명확히 알려져 있는 부분이 적습니다.
이전에도 자궁내막증의 발생기전에 대해 여러가지 연구과 가설들을 소개시켜 드렸는데요.
복잡한 발생기전 만큼이나 자궁내막종에 대해서도 다양한 설명들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특히나 난소가 배란의 주요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자궁내막종과 난임과 관련하여 여러 연구들이 제시되고 있는데요.
배란과 관련하여 자궁내막종이 있는 난소는 배란이
'잘 안된다 혹은 배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와 같은 상반된 연구 결과들이 제시되기도 하며
더불어 난소 예비력을 평가하는 수치인 AMH와 자궁내막종에 관해서도
자궁내막종이 있는 여성에서 AMH 수치가 '감소된다 혹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그리고 ' 자궁내막종과 자궁내막종이 아닌 난소 낭종'의 AMH 수치 차이 없다 와 같이
일관되지 않은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어 왔습니다.
자궁내막종의 크기에 따른 AMH 수치의 증가
Serum antimullerian hormone concentration increases with ovarian endometrioma size
오늘 소개해드릴 논문은 앞서 말씀드린 자궁내막종과 난임에 관한 연구로
난소 예비력을 평가하는 AMH 수치와 자궁내막종 크기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입니다.
2004-20016년 사이에 이루어진 단면 연구로,
자궁내막증의 수술력이 없는 18-42세의 여성 267명을 대상으로
자궁내막종을 가진 여성 148명과 자궁내막종이 아닌 난소낭종을 가진 여성 119명 두그룹으로 나누어
AMH 수치를 비교하였으며 낭종의 크기에 따른 수치 변화를 분석하였습니다.
전체 여성 267명을 대상으로 초음파 검사 및 MRI 검사와 같은 영상 검사가 이루어 졌으며
난소 낭종의 유무와 낭종의 크기, 성상 등에 대한 내용이 수집 되었습니다.
또한 전체 여성들 모두 낭종제거 수술이 이루어 졌는데요.
수술 전 1달 내 AMH 수치가 측정 되었고,
자궁내막종의 진단은 수술 후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이루어 졌습니다.
자궁내막종을 가진 여성 그룹과 자궁내막종이 아닌 난소낭종을 가진 여성을 비교한 결과
두그룹 간의 AMH 수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3.8 2.8 ng/mL vs 4.1 3.3 ng/mL)
자궁내막종 그룹내에서도 일측성 자궁내막종과 양측성 자궁내막종
자궁내막증의 한 유형인 DIE(자궁내막 조직이 복강내 5mm 이상 침윤)의 유무 또한
AMH 수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자궁내막종 그룹에서는 자궁내막종 크기에 따라
AMH 수치 또한 증가하는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났는데요.
사후 분석에 따르면 자궁내막종 크기가 70 mm 이상에서는 30 mm 이하와 비교하여
AMH 수치가 통계적으로 상당히 증가하였습니다 (5.0 vs 3.3 (P=.02) )
자궁내막종이 아닌 난소낭종그룹에서는 난소 낭종의 크기와 AMH 수치간에 연관성이 없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자궁내막종과 AMH 수치 사이에 관한 이전 연구들은 상반된 결과를 보이는 가운데
자궁내막종이 있는 여성의 경우 AMH 수치가 감소한다는 발표가 다수 였습니다.
그럼에도 이전 연구들에서 자궁내막종의 크기와 AMH 수치의 상관관계를 다룬 연구는 없었는데요.
오늘 소개해드린 연구에서 주목할 만한 부분은
이전 자궁내막종이 있는 여성에서 AMH 수치가 감소한다는 앞선 결과들과 달리
자궁내막종의 크기가 큰 경우 (>70 mm) AMH 수치가 오히려 증가하는 것 입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서 논문에서는 몇가지 설명을 제시하는데요
자궁내막종으로 인한 염증과 혈관신생으로 자궁내막종의 크기 증가가
AMH의 분비 증가 및 그에 따른 혈청 AMH 수치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설명입니다.
더불어 위 연구가 수술을 한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 또한 고려해야 합니다.
실제 자궁내막종 수술을 시행한 경우 AMH 수치가 감소한다는 연구결과에 따라
난소예비력 저하를 염두하는 난임여성, 혹은 난소예비력 저하 여성은 연구에서 제외 되었기 때문에
선택 바이어스가 개입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자궁내막종이 있는 경우 난소예비력이 과대평가 될 수 있어
AMH수치 해석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